여러 소스코드를 보다보면 변수를 네이밍하는 규칙이 각각 다른 것을 보실 수 있을겁니다.
아니면 혹은 "자바 클래스는 파스칼케이스로 작성해야지"라는 말을 들어보실 수도 있을 겁니다. 대표적인 네이밍 컨벤션을 알아봅시다.
camelCase
주로 암묵적으로 camelCase 라고하면 단봉낙타 표기법(lowerCamelCase)을 이야기합니다.
각 단어의 첫문자를 대문자로 표기하지만, 변수의 첫 문자는 소문자로 적습니다.
- ex.
className,backgroundColor
PascalCase
PascalCase 는 쌍봉낙타 표기법(UpperCamelCase)를 이야기합니다.
전체 변수의 첫 문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며, 각 단어의 첫문자 또한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 ex.
EgovProgramManage,DefaultBeanValidator
SNAKE_CASE
snake_case 는 줄여서 snake 라고도 하며, 언더스코어(_)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각 단어의 간격 대신에 언더스코어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모든 문자를 소문자 혹은 대문자로 통일합니다.
상수를 표현할때, 대문자 형식으로 많이 사용되고, DB에서 이름을 정의할 때, 많이사용합니다.
"hello king".replace(" ", "_")- ex.
DEFAULT_PATH,my_home
kebab-case
kebal-case 는 각 단어의 간격을 대쉬(_)로 대체합니다.
주로 URL 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wavus class".replace(" ", "-")- ex.
http://bit.ly/gmg-class
'D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스모크 테스트란 무엇인가? (0) | 2020.10.01 |
|---|---|
| 2020년도 높은 연봉을 받는 15가지 IT 자격증 (0) | 2020.04.27 |
| 삼바의 2019 회고록 (2) | 2019.12.31 |
| 2019년도 높은 연봉을 받는 15가지 IT 자격증 (0) | 2019.02.17 |
| JDK 유료화 이슈 OpenJDK 링크 (0) | 2019.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