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down?
마크다운을 창시한 John Gruber는 마크다운을 text-to-HTML Conversion tool for web writers 라고 한다.
마크다운은 easy-to-read(쉽게 읽히고), easy-to-write(쉽게 쓰이는) 언어이다.
간단한 문법의 텍스트 형식으로 글을 작성하면 HTML의 구조로 변환해 주기 때문에 HTML의 문법을 모르더라도 쉽게 웹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Markdown vs HTML
HTML은 Markup Language 로 태그를 이용하여 문서와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나 Markdown은 훨씬 단순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Markdown은 HTML 구조로 변환하기 쉽게 되어있다.
Use Markdown
Github README.md
Github를 사용하고 repository를 만들어 봤다면 누구나 만들어봤을 README.md 파일은 Markdown 언어로 작성된다.
Dropbox Paper
https://www.dropbox.com/ko/paper
Dropbox에서 제공하는 문서 협업툴 Dropbox Paper 또한 Markdown을 사용한다.
Typora
Markdown 문법으로 글을 작성하면, 그 결과가 바로 화면에 표시되어 Markdown으로 글을 작성한다면 추천하는 에디터이다.
Markdown(.md)문서를 HTML, PDF등 다양한 형식으로 Export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Grammar
Header
# This is a H1
## This is a H2
### This is a H3
#### This is a H4
##### This is a H5
###### This is a H6
This is a H1
This is a H2
This is a H3
This is a H4
This is a H5
This is a H6
BlockQuote
> This is a blockqute.
This is a blockqute.
List (Number)
1. First
2. Second
1. Second - 1
2. Second - 2
3. Third
First
Second
- Second - 1
- Second - 2
Third
List (Symbols)
- First
- Second
- Second - 1
- Second - 2
- Third
First
Second
- Second - 1
- Second - 2
Third
이미지 삽입
![](https://i.imgur.com/u6cWjOX.png)
코드 표시
```html
<h1>Hello, Markdown<h1>
```
<h1>Hello, Markdown<h1>
'T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팡 파트너스 가입하기 추천인코드 (0) | 2019.02.02 |
---|---|
TiStory 애드센스 시작하기 (2) | 2019.01.28 |
Tistory에 MarkDown으로 글쓰기 (1) | 2019.01.13 |
TiStory에서 MarkDown으로 만든 HTML 사용하기 (0) | 2019.01.13 |